반응형
첫화면에서 우측의 ERD처럼 생킨 아이콘을 클릭해 줏비다.
새 모델을 만들것이므로, +버튼을 눌러서 추가해 줍시다.
Add Diagramd으로 다이어그램을 새로 만들 수 있구요, 물리스키마 우측의 +/- 버튼으로 DB를 만들거나 삭제할 수 있습니다.
처음 화면은 이렇게 보이는데요, 기본적으로 생상할땐 저 두 빨간 사각형만 필요합니다.
테이블을 생성하게 되면 데이블을 추가하고 속성과 제약사항등을 만들 수 있습니다.
이렇게 해서 간단히 erd를 작성해 보겠습니다.
간한하게 ERD를 그려보았습니다. 이제 제 DB 서버에 해당 DB를 생성해 보죠
상단 Database에서 Forward Engineer를 클릭합니다
이런창이 뜨는데요, 어디서버에 생성할지 선택해주고 계속 컨티뉴 눌러줍니다. 그러면...
쨔잔 간편하게 DB가 생성되었습니다.
이번엔 반대로 DB를 ERD로 바꿔보겠습니다.
아까 Database 탭에서 Reverse Engineer를 눌러주고, 가져올 db서버를 선택하고 넘어가면
위와같이 어떤 DB를 가져올것인지 선택할 수 있습니다 선택후 계속 컨티뉴를 하면...
쨔쟌! 간단히 ERD가 작성되었습니다.
반응형
'Database' 카테고리의 다른 글
[MySQL] 방금 수행한 질의 대상 얻어오기 (0) | 2021.08.04 |
---|---|
MySQL에서 LIMIT과 OFFSET을 사용해 Paging하기 (2) | 2021.05.13 |
mac에서 MySQL Workbench 사용해보기 (0) | 2021.04.16 |
ERD(Entity-Relationship-Diagram) -이론 (0) | 2021.04.16 |
데이터 모델링 (0) | 2021.04.1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