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서론
SQLD자격증 공부를 하거나, 대학교에서 강의를 들어도 이론공부와 SQL Query만 주로 공부하지
실제로 대상을 매핑하는 경험은 굉장히 적었었고 개인프로젝트를 진행해도 기술위주로의 적용에 신경쓰지
data에 대해선 굉장히 소흘했었단걸 이번 학원에 강의를 수강하며 느끼게 되었습니다.
소규모 매핑에도 직접 머리를 싸매고 해보니 이게 맞나? 싶으면서 확신은 들지가 않더라구요.
반성하는 의미로 수강하며 공부한 내용을 정리할겸 포스팅 해 보겠습니다.
ERD란?
ER(Entity-Relationship) 데이터 표기법을 도식화하여 다이어그램으로 표현하는것이 ERD입니다.
데이터 흐름과 프로세스의 연관성을 시각적으로 표현하는데 아주 훌륭한 표기법입니다.
표현방법
- Entity -> 사각형
- Relationship -> 마름모
- Attribute -> 타원
작업순서
- 엔터티를 그린다.
- 엔터티를 배치한다. (중요할수록 왼쪽위부터 오른쪽 아래로)
- 엔터티간 관계를 설정한다. (pk로 속성이 상속되는 식별자 관계부터 설정, 중복/Circle 관계에 유의)
- 관계명을 기술한다. (가능한 구체적으로 현재형 동사)
- 관계 참여도를 기술한다.(0, 1, n, m)
- 관계의 필수여부를 기술한다.
표기법
1. Chen 표기법
2. IE (까마귀 발)표기법
3. Barker 표기법
다음글에선 학원에서 배운 내용을 바탕으로 매핑을 해보도록 하겠습니다.
학원에선 비전공자들도 있으니 가장 간단한 방법인 Chen표기법으로 강의를 하신것 같았는데,
여기서 더 나아가서 현업에서 가장 많이 쓰이는 IE표기법을 사용해 보겠습니다.
반응형
'Database' 카테고리의 다른 글
[MySQL] 방금 수행한 질의 대상 얻어오기 (0) | 2021.08.04 |
---|---|
MySQL에서 LIMIT과 OFFSET을 사용해 Paging하기 (2) | 2021.05.13 |
Workbench ERD로 DB 만들기 (0) | 2021.04.16 |
mac에서 MySQL Workbench 사용해보기 (0) | 2021.04.16 |
데이터 모델링 (0) | 2021.04.15 |